School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Republic of Korea
Tel: +82-53-950-5753
Fax: +82-53-950-6750
E-mail: dhkim85@knu.ac.kr
Homepage: https://sites.google.com/view/mfst-sfbe/home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학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식품생물공학) 박사
기간 | 기관명 | 직위 및 직급 |
---|---|---|
2022.09 ~ 현재 |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소재공학전공 | 조교수 |
2021.09 ~ 2022.08 |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조교수 |
2020.11 ~ 2021.08 |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The Renewable Resource and Enabling Sciences Center | Postdoctoral Researcher |
2019.09 ~ 2021.08 | 고려대학교 식품생의학안전연구소 | 연구교수 |
2017.11 ~ 2018.05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Institute for Genomic Biology | Visiting scholar |
2013.04 ~ 2014.10 | ㈜엠에스씨 하이드로코로이드실 | 연구원 |
2023.05 ~ 2024.05 | ISO 국제표준화 활동 대응 | 전문위원 |
2024.01 ~ 2024.12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e-생물산업 | 간사 |
2023.03 ~ 2023.12 | 한국당과학회 | 국제협력위원 |
2023.01 ~ 2024.12 | 경북대학교 미생물연구소 운영위원회 | 위원 |
2023.01 ~ 현재 | 한국생물공학회 홍보소식위원회 | 위원 |
2022.01 ~ 현재 | 한국수산과학회 국제협력위원회 | 간사 |
현대 사회에서의 식품은 인류의 생명유지를 위해 섭취되는 차원을 벗어나 인류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활용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품소재공학은 식품분야를 기반으로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과 융합하여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바이오산업 전반에 응용되는 학문 분야이며 식품유래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고 이들을 바이오 소재로 활용하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분자생물학, 영양학, 발효미생물학 등 생명공학의 기초학문과 식품소재 개발 및 응용학문을 융합하여 생물공정 기술 개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취지 하에 2022년 식품생물자원연구실이 출범하였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화학 촉매와 더불어 재조합효소, 미생물과 같은 생물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과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 식품 부산물과 같은 생물 자원에서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식품, 화장품, 제약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아래의 본 연구에 대하여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최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 중에 있습니다.
오늘날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Lignocellulose, Macroalgae 등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와 부산물을 이용하여 Biosugar,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Biofuel를 포함한 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고 있다.
• 바이오 연료,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등의 고부가가치 소재 생산
• 비발효당 기반 고부가가치 플랫폼 화학물질 생산을 위한 화학-바이오 융합 공정개발
화학 및 생물공학적 접근법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탄수화물로부터 기능성 희귀당, 올리고당과 같은 고부가가치가 있는 당류를 생산하고자 한다. 생산된 탄수화물은 건강에 이로운 성분을 함유하거나 특정 기능성을 부여하여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 생물학적 전환을 통한 희소당 생산
• 효소, 화학촉매를 이용한 바이오당 및 올리고당 생산
• 효소적 transglycosylation을 통한 올리고당 합성
• 원료로부터 효율적인 추출 및 변형과 미생물 발효를 통한 다당류 생산
현대 사회에서 플라스틱 사용이 불가피해지면서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은 자연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이용하거나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및 생물전환 공정 개발을 통해 생태계 환경을 보호하고자 한다.
1.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을 위한 효율적인 화학-생물공정 개발
2. 효율적인 플라스틱 재활용 및 변형 공정을 통한 첨단 플라스틱 생산
3. 플라스틱 모노머를 활용한 발효 및 생물전환 공정 개발
4.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 빌딩 블록 생산
오늘날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질병을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인간의 마이크로바이옴에 집중하고 있다. 인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는 인간의 세포수 보다 10배가 많고 그의 유전자는 인간의 유전자보다 100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마이크로바이옴을 잘 이해하고 이들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 인간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실의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분리 및 효율적인 스크리닝 시스템 개발
•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효모 엔지니어링
•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프리바이오틱스 생산
논문실적 | ||||
---|---|---|---|---|
게재 연도 | 논문명 | 학술지명 | 학술지 구분 | 저자 역할 |
23 | Potential of Bifidobacterium lactis IDCC 4301 isolated from breast milk-fed infant feces as a probiotic and functional ingredient | Food Science and Nutrition | SCIE | 교신 저자 |
22 | Optimal beta-galactosidases for producing high-titer 3,6-anhydro-L-galactose from red-algal agarobiose |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SCIE | 주저자 |
21 | Addition of various cellulosic components to bacterial nanocellulose: a comparison of surface qualities and crystalline propertie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SCIE | 주저자 |
21 | One-pot chemo-bioprocess of PET depolymerization and recycling enabled by a biocompatible catalyst, betaine. | ACS Catalysis | SCIE | 주저자 |
21 | Enhanced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GABA)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EJ2014 with simple medium composition |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 SCIE | 주저자 |
20 | Biological upgrading of 3,6-anhydro-L-galactose from agarose to a new platform chemical | Green Chemistry | SCIE | 주저자 |
19 | Pretreatment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oak at high solids loadings to obtain high titers and high yields of sugars | Bioresource Technology | SCIE | 주저자 |
18 | Novel two-step process utilizing a single enzyme for the production of high-titer 3,6-anhydro-L-galactose from agarose derived from red macroalgae |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 SCIE | 주저자 |
18 | A novel β-glucosidase from Saccharophagus degradans 2-40T for the efficient hydrolysis of laminarin from brown macroalgae | Biotechnology for Biofuels | SCIE | 주저자 |
14 | Inhibitory effects of brown algae extrac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muscle via inhibition of growth and histidine decarboxylase activity of Morganella morgani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SCIE | 주저자 |
13 | Inhibitory effects of high-hydrostatic-pressure treatmen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 inoculated with Morganella morganii and Photobacterium phosphoreum | Food Control | SCIE | 주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