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B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e-생물산업 웹진은 다양하고 알찬 내용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2021 September Vol.34 No.3 ISSN 1598-8384

KMB 우수논문

JMB 우수논문

논문 요약

본 Review 논문은 인체 피부에 존재하고 있는 말라세지아(Malassezia) 진균에 대한 소개와 말라세지아 진균에서 발현되고 있는 다양한 Lipase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 많은 논문에서 말라세지아 진균이 인체 피부에 우점하고 있으며, 지루성피부염, 비듬, 아토피피부염, 건선 등과 같은 피부질환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최근 피부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이 진행되면서 알려진 사실입니다. 말라세지아 진균은 배양이 까다로우며, 진균의 지질의존성으로 인하여, 과거 배양을 기반으로 하여 피부 진균을 분리 동정한 연구에서는 관찰이 어려웠던 진균류였습니다.
말라세지아 속(Genus)에는 현재까지 총 18개의 종(Genus)가 보고되었으며, 그 중에서 Malassezia restrictaM. globosa 가 피부에 가장 우점하는 종(Genus)들입니다. 말라세지아 유전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말라세지아의 지질의존성은 지방산 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유전자 결핍으로 인한 것으로 파악이 됐고, 따라서 말라세지아는 다양한 Lipase를 분비하여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피지(Sebum)를 분해하고 그 산물인 지방산(Fatty acid)을 획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른 인체병원성 진균 (e.g. Candida)에서는 Lipase가 진균의 병원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에 말라세지아 진균에서도 Lipase가 병원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말라세지아의 Lipase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말라세지아 진균과 피부질환 그리고 말라세지아세 연재까지 알려진 Lipase들에 대한 총체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말라세지아 진균과 Lipase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교신저자

정원희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시스템생명공학과
E-mail : whjung@cau.ac.kr

[약력]
  • 2018 – 현재

    중앙대학교 교수

  • 2009 – 2017

    중앙대학교 조교수/부교수

  • 2004 – 2009

    Postdoc research fellow / Research associate

  • 2003

    University of Manchetser (UK), Biomolecular Sciences, 이학박사

  • 1997

    서강대학교 생명과학, 이학석사

  • 1993

    중앙대학교 생명공학, 이학사

제1저자

Youngbeom Ahn
박민지

중앙대학교, 현) 큐티스바이오㈜
E-mail : mjpark@cutisbio.com

[약력]
  • 2020 – 현재

    큐티스바이오㈜ 수석연구원

  • 2019 – 2020

    중앙대학교 전임연구원

  • 2019

    중앙대학교 시스템생명공학, 이학박사

  • 2015

    중앙대학교 시스템생명공학, 이학석사

  • 2013

    중앙대학교 생명공학, 이학사

연구실 소개

최근 수십 년 동안, 장기이식, 항암치료, HIV 감염 등으로 인하여 면역체계가 약해진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병원성 진균들에 의한 감염이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고, 이러한 감염은 간단한 진균성 피부질환에서부터 환자에게 치명적인 진균성 뇌수막염까지 다양한 진균들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장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진균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사람에게 가장 빈번하게 감염되는 병원성 진균인 Cryptococcus, Candida, Malassezia 등을 대상으로 병원성 기전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항진균 치료제의 작용기전 및 저항성에 대한 원리 규명을 위한 연구를 분자유전학, 기능유전체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 중에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 및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진균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멤버